요즘 전세 구하기도 힘들고, 전세가격이 매매가격과 비슷해서
정말 고민입니다.
이사, 전세가 올려달라는 집주인이 귀찮아서 이번 기회에 그냥 주택을 사야하나..싶네요.
부동산에 알아보니 부동산정책(취득세 감면 등)과 생애첫대출 상품에 대해서 설명해줘서
인터넷에서 알아보고 포스팅 좀 해보려합니다.
한두푼이 아닌 집을 사려고 하니 신중해지네요.
신혼부부 맞춤형 전세대출
전세자금을 대출받고자 하는 신혼부부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고
각 시중은행들이 판매하는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는 것이 다른 대출보다 유리하다.
KB국민은행의 'KB주택전세자금대출' 'KB플러스전세자금대출',
NH농협은행의 '채움전세우대론', IBK기업은행의 '장기전세대출' '역전세대출'
'IBK전세대출', 신한은행의 '신한주택전세자금대출' '신한장기전세지원대출' '신한전세보증대출',
우리은행의 '우리전세론(장기전세, 주택금융보증)', 하나은행의 '하나주택신보전세자금대출'
'하나우량주택전세론' 등 6개 은행에서 판매하는
13개 상품은 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는 전세대출 상품이다.
대개 고객 신용이나 실적에 따라 4~6%대의 금리가 적용된다.
본인의 거래 실적이 많고 신용도가 높은 은행에 찾아가
위 13개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다.
시중은행 중에서는 농협은행의 'NH전세자금대출' 금리가 가장 낮다.
이 상품의 경우 최저 금리가 연 3.73%이며 대출 한도는 최대 2억원까지이다.
허나 요즘 전세가가 매매가와 비슷해서 전세자금대출보다는 이번에 그냥 내집을 살까 고민이 되는게 사실이다..
'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'
매매가에 육박하는 전세가가 부담된다면 이 참에 주택마련을 한번 고민해볼 것을 권한다.
새 정부의 4ㆍ1부동산대책에 따라 이번 달부터 생애최초주택구입자대출의 대상 범위를 확대, 운영되고 있다.
또 연말까지 생애최초주택구입자에 한해 총부채상환비율(DTI)을 은행 자율에 맡기고
주택담보인정비율(LTV)도 60%에서 70%로 완화하기로 했다.
현재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을 운용하는 은행은
우리ㆍ신한ㆍ국민ㆍ하나ㆍ농협ㆍ기업은행 등 6곳.
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금리는 연 3.3~3.7% 수준이다.
최대 2억원 한도 내에서 30년 동안 분할상환하는 방식이다.
예를 들어 최대 한도인 2억원을 대출받았을 때 약 2억8,600만원에 거래되는 주택을 매수할 수 있다.
연 3.5%의 금리를 적용해 5년 거치 후 25년 분할상환하면 월 상환액은 약 100만원이 된다.
4.1대책에 따라 이번 달부터 대출기준도 완화돼
더 많은 수요자가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.
연소득 기준이 기존 부부합산 '5,500만원 이하'에서 '6,000만원 이하'로 완화되고
30년 분할상환 대출상품이 신설됐다.
기존 2조5,000억이었던 지원규모도 5조원으로 확대했다.
대출이용 대상자는 6억원 이하,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을 구입하는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다.
현재 무주택자이더라도 과거에 주택을 구입한 사실이 있으면 대출을 받을 수 없다.
단 총부채상환비율이 70%를 넘는 하우스푸어의 주택을 매입하거나
현재 거주하고 있는 임차주택을 매입하는 경우 주택구입 사실이 있는 무주택자도 이용할 수 있다.
위 내용은 뉴스기사를 따왔는데요.
부동산 투기용이 아닌 가족들과 편히 살 집을 구하는 상황에서
전세보다는 매매로 마음이 많이 가고 있습니다.
금리와 대출 조건이 괞찮은데(은행에 상담은 받아봐야겠지만)
지금 내집마련이 현명한것인지도 참 고민이 되네요.
양도세, 취득세 면제만으로도 지금 내집마련에는 좋은 기회인듯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자인이 예쁜 이어폰 추천 (0) | 2013.05.29 |
---|---|
최신스마트폰 비교 – 삼성갤럭시노트2/옵티머스Gpro/스카이베가no.6 (0) | 2013.05.23 |
모기퇴치기, 모기약의 건강영향 (0) | 2013.05.20 |
화장실냄새 제거 궁금하세요? (0) | 2013.03.15 |
생수 마시는 분들 주의!! (0) | 2013.0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