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cryptocurrency

가상화폐 전망 시리즈 3편 - 알트코인, 살아남을 코인은 무엇인가?

 


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전체 시장의 중심축을 담당한다면, 그 외의 수많은 코인들은 '알트코인'이라는 이름으로 분류된다.

알트코인은 단지 비트코인의 대안이라는 의미를 넘어, 각기 다른 기술적 기반과 생태계를 구축하며 독립적인 가치를 만들어가고 있다.
하지만 2025년 현재, 수천 개가 넘는 알트코인 중 과연 어떤 코인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?

이더리움: 생태계 중심에서 계속 진화 중

이더리움은 알트코인 중 단연 선두주자다. 2022년 지분 증명(PoS) 방식으로의 전환 이후, 에너지 효율성과 확장성 모두를 개선하며 디파이와 NFT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.
2025년에는 레이어2 확장 기술과 함께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며, 실사용성과 투자 가치를 동시에 지켜가고 있다.

솔라나와 아발란체: 속도와 확장성으로 승부

솔라나는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고속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빠르게 부상했다. 특히 실시간 게임, NFT 마켓 등 고빈도 거래가 필요한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.
아발란체는 다중 체인 구조를 통해 유연한 확장을 지원하며, 기업용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.

리플(XRP): 송금 인프라의 실용화 사례

리플은 오랜 기간 법적 이슈로 인해 불확실성이 컸지만, 2024년 미국 법원 판결 이후 제도권 내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.
XRP는 초고속 국제 송금 인프라를 제공하며 실제 금융기관에서의 채택률도 늘고 있다. 다만 규제와 연관된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 시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.

밈코인과 테마형 코인: 단기 트렌드의 위험

도지코인, 시바이누 등 '밈(Meme)' 성격의 코인들은 커뮤니티 중심으로 강한 가격 변동을 보이기도 하지만, 기술적 기반이나 실사용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.
최근에는 인공지능, 메타버스, 탈탄소 등 특정 테마를 기반으로 한 신규 코인들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.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투기성 목적에 가까워, 기술과 수요 기반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알트코인 선택 기준

  1. 기술적 실현 가능성: 블록체인 구조, 확장성, 보안성 등
  2. 생태계 성장성: 디앱(dApp) 수, 개발자 커뮤니티 활성화 여부
  3. 파트너십과 상용화 여부: 실제 기업과의 협업, 금융기관 채택 등
  4. 토큰 이코노미 구조: 유통량, 소각 정책, 인플레이션 구조 등

결론: 알트코인은 ‘선택과 집중’이 핵심

모든 알트코인이 살아남을 수는 없다.
가상화폐 시장이 제도화되고 실사용 중심으로 전환되면서, 투자자들은 기술적 내실과 실용성을 갖춘 프로젝트에 더 많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.
단기 수익보다 중장기적인 기술 기반과 수요를 바탕으로 한 알트코인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.